한국바카라 게임회사협의회 슬로건: 바카라 게임회사 우리 경제의 희망이고 미래입니다
전체메뉴

소통광장

공지사항

바카라 커뮤니티의 공지사항

  • 제목 '상장협' 2006년도 춘계호 원고모집 및 공모방법 변경안내
  • 등록자 조사총괄과 
  • 일자 2005-11-01
  • 조회 618
  • 첨부파일 바카라 게임 춘계(06년)논문투고요령.hwp
귀사의 발전하심과 귀하의 건승하심을 기원합니다.

1. 본회에서는 회사법 및 증권관련 법제뿐만 아니라 기업관련 재무, 회계 및 세무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학계 및 실무계의 논문들을 수록한 전문연구지인 ‘상장협’을 1980년에 창간한 이래 매년 2회(춘․추계호)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2. 금번 ‘상장협’ 2006년도 춘계호(통권 제53호)부터는 공모논문 제출형식을 완성논문(집필의향서 제외)만으로 제출토록 하고 제출기한을 연장하는 등 공모방법을 일부 변경하여 다음과 같이 논문을 모집하오니 귀하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있으시기 바랍니다.

3. 아울러, 실무지향적인 전문연구지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우수한 논문을 수록하기 위하여 지난 2005년도 추계호부터는 원고료의 대폭 인상과 함께 수록된 논문 중에서 우수논문을 선정․시상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다          음 -
Ⅰ. 공모방법 변경  
구  분                                      변 경 전                                           변 경 후
제출형식                     완성논문 또는 집필의향서                               완성논문
제출기한                   (춘계호) 1월말, (추계호) 7월말            (춘계호) 2월말, (추계호) 8월말
발간시기                   (춘계호) 3월말, (추계호) 9월말              (춘계호)  4월, (추계호) 10월

※ 시행시기 : 2006년 춘계호부터 적용


Ⅱ. 논문공모 안내

1. 논문제출대상 : 대학교 전임교원 및 연구소 연구원 이상, 상장회사 및 관계기관은 과장급 이상 임직원

2. 제출기한 : 2006. 2. 28(화) (제출 후 유선확인 바랍니다.)

3. 제출형식 : 완성논문

⑴ 첨부한 <논문작성 및 투고요령>을 참조하여 제출

⑵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120매 내외

논문 제출기일 전에 미리 제출의사를 사무국에 유선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4. 제출방법  : 우편 (디스켓 동봉) 또는 E-mail(research01@klca.or.kr)

5. 논문심사 및 발간일정

⑴ 논문 심사 및 결과통보 : 2006년 3월 20일(월)

⑵ 발  간  : 2006년 4월 20일(목) 예정

6. 원고료 지급 및 우수논문 시상

⑴ 게재된 원고에 대해서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하며 우수논문으로 선정시에는 별도의 상금을 추가 지급합니다.

⑵ 우수논문 시상내역

  ① 최우수 논문(1편) : 상금 200만원

  ② 우수논문 (1편) : 상금 100만원

7. 응모논문 주제 및 연구방향

⑴ 회사법 및 증권관련 법제의 개선

⑵ 회계 및 세무관련 제도의 개선

⑶ 내부통제시스템(내부회계관리제도 포함)의 정착 및 보완

⑷ 기업금융 및 재무 관련 연구

⑸ 상법상 감사 및 외부감사관련 제도의 개선

⑹ 기타 상장회사 및 증권시장과 관련된 주제

8. 제출 및 문의처 : 150-977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33(증권선물거래소 별관11층)

  바카라 커뮤니티 조사부 조사총괄과(☎ 02-783-6501 내선번호 441~443)

9. 기    타

- 제출 연구논문은 다른 간행물이나 학술발표지 등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합니다.

※ 상장협 1호~52호의 목차 및 수록내용은 본회 인터넷 사이트(www.klca.or.kr) ‘자료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수 신 처 : 주권 상장법인 주식 및 회계업무담당부서장, 증권유관기관 관련업무부서장, 본회 부설 자문위원회 소속 자문위원, 각 대학교 법학 및 상경계열 학과 교수, 경제 및 경영연구소 소장 등